스파이웨어 침투는 일반적인 웹사이트를 통한 악성코드 감염 외에도 인터넷이 연결되지 않은 격리된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도록 USB 기반의 메카니즘을 사용하고, HDD의 경우 펌웨어에 스파이웨어를 숨기고 디스크 포맷과 OS 재설치에도 살아남을 수 있도록 했다고 한다.
'스크랩(CCL) > 뉴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보안] 오픈넷, ‘RCS’ 잡는 스마트폰 백신 배포 (0) | 2015.08.10 |
---|---|
[보안] 삼성 노트북, 윈도우 업데이트 임의 차단해 (0) | 2015.06.25 |
[보안] 비밀번호 관리 서비스 ‘라스트패스’ 해킹 당해 (0) | 2015.06.16 |
[보안] 미영 정보기관, SIM카드 제조사도 해킹했다 (0) | 2015.02.23 |
[보안] 레노버, 노트북에 악성 SW 깔아 팔다 덜미 (0) | 2015.02.22 |